M1 맥북을 사용하다 보면, 어느 순간 포맷이 필요할 때가 있어요.
이번 포스팅에서는 M1 맥북을 포맷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.

포맷하기 전에 준비할 것
먼저 포맷하기 전에 몇 가지 점 체크해야 해요.
- 데이터 백업: 포맷하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. 중요한 파일은 반드시 백업해주세요. 타임머신이나 외장 하드 드라이브를 이용하면 좋아요.
- Apple ID 비밀번호 준비: 포맷 후 다시 설정할 때 Apple ID가 필요하니, 비밀번호를 미리 확인해두는 게 좋습니다.
단계 1: 복구 모드로 진입하기
M1 맥북을 포맷하려면 복구 모드에 들어가야 해요.
- 맥북 종료: 맥북을 완전히 끄세요.
- 전원 켜기: 전원을 켠 뒤, 바로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주세요.
- 복구 모드 진입: "복구 모드로 진입 중입니다"라는 화면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세요.
단계 2: 디스크 유틸리티 열기
복구 모드에 진입하면 여러 옵션이 보일 거예요.
- 디스크 유틸리티 선택: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에서 ‘디스크 유틸리티’를 선택하고, ‘계속’을 클릭하세요.
- 디스크 선택: 왼쪽 메뉴에서 Macintosh HD를 선택하세요. (물론, 이름은 다를 수 있어요.)
- 지우기 클릭: 상단 메뉴에서 ‘지우기’ 버튼을 클릭합니다.
단계 3: 포맷 설정하기
이제 포맷을 설정할 차례입니다.
- 이름 입력: 지운 후 다시 이름을 입력할 수 있어요. 기본적으로는 ‘Macintosh HD’로 두면 됩니다.
- 형식 선택: ‘APFS’ 또는 ‘Mac OS 확장(저널링)’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. 일반적으로 M1 맥북은 APFS를 추천합니다.
- 지우기 클릭: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, ‘지우기’ 버튼을 클릭하세요. 데이터가 삭제되는 과정을 기다리면 됩니다.
단계 4: macOS 재설치하기
포맷이 끝났다면, 이제 운영체제를 재설치해야 해요.
- 디스크 유틸리티 종료: 디스크 유틸리티를 종료합니다.
- macOS 재설치 선택: 복구 모드에서 ‘macOS 재설치’를 선택합니다.
- 화면 안내 따라가기: 화면의 지시에 따라 macOS를 설치해주세요.
설치 과정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니, Wi-Fi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해요.
단계 5: 초기 설정하기
macOS 설치가 완료되면 초기 설정 화면이 나타날 거예요.
- 언어 선택: 여러분이 사용할 언어를 선택합니다.
- Apple ID 로그인: Apple ID로 로그인해 주세요.
- 기타 설정: 암호 설정, Siri 사용 여부 등 몇 가지 설정을 진행하면 됩니다.